본문 바로가기
정보.건강

을사오적 이란, 을사오적 뜻-역사적 배경, 을사늑약 찬성 을사오적 인물 5명

by mwollossma 2025. 3. 1.
반응형

을사늑약 찬성 을사오적 인물-이름, 을사오적 이란

오늘 3.1절이었습니다. 3.1절 하면 유관순 열사도 생각나지만 올해가 을사년의 해라 그런지 을사오적의 배경과 그 인물들이 궁금하던 참이었습니다. 우리나라 역사 중 일제강점기 시대인 1905년 일본은 대한제국의 외교권 박탈을 위해 강제로 체결한 조약이 있었습니다. 바로 '을사늑약'입니다. 이 을사늑약에 찬성하여 서명한 5명의 매국노들을 우린 '을사오적'이라고 배웠습니다. 그렇다면 을사오적은 누구이고 그들의 행적은 어떠했는지 을사오적의 역사적 배경과 함께 알아봅니다.

 

을사오적 역사적 배경

을사오적(乙巳五賊)은 대한제국 말기 일제의 한국 침략 과정에서 1905년 을사늑약 체결에 찬성 및 지지하여 한국의 외교권을 일본에 넘겨준 다섯 명의 매국노를 일컫는 말입니다. '을사'는 조약이 체결된 해이며, '오적'은 다섯 명의 도적을 의미합니다.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면 19세기말부터 20세기 초 조선은 외세의 침략과 내부 정치의 혼란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제는 1904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후 조선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들은 조선의 외교권을 박탈하고 조선을 식민지로 만들기 위해 '을사늑약'을 강요했습니다.
이때 을사늑약에 찬성하고 서명한 다섯 명의 대신이 있었습니다. 학부대신 이완용, 군부대신 이근택, 내부대신 이지용, 외부대신 박제순, 농상공부대신 권중현, 이들을 을사오적이라고 부릅니다.
그들의 결정은 한국 역사상 가장 치욕적인 사건 중 하나로 기억되며 오늘날에도 많은 한국인들에게 분노와 실망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반응형

 

을사늑약 체결로 인한 영향

1905년 11월 17일 일제는 당시 대한제국의 궁궐 중 하나인 덕수궁 중명전에서 을사늑약을 강제로 체결하였습니다. 늑약이라는 표현을 쓰는 이유는 국제법상 조약의 효력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압니다.
체결 과정에서는 일본군이 무력으로 대한제국의 대신들을 협박하고 일부 대신들은 늑약에 반대했었습니다.
결국 다섯 명의 대신이 서명하면서 을사늑약이 체결되었습니다. 이때 바로 앞서 언급한 을사오적이 등장합니다.
조약의 주요 내용은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일본이 장악하고 서울에 통감부를 설치하여 일본이 대한제국의 내정을 간섭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로 인해 대한제국은 사실상 일본의 식민지가 돼버립니다.
이후 을사늑약은 대한제국의 독립과 주권을 침해하는 대표적인 사건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에서도 을사늑약의 무효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을사오적 이후 한국사 변화(외교권 박탈, 주권 상실, 항일운동)

-외교권 박탈: 1905년 11월 17일 일제는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고 통감부를 설치.

-주권 상실: 1910년 8월 22일 대한제국의 국권을 완전히 상실. 일제의 식민통치 시작.

-항일운동의 시작: 을사늑약 이후 전국적으로 항일운동 활발. *대표적인 의병운동, 애국계몽운동(의병운동이 무장 투쟁이라면 애국계몽운동은 언론과 교육, 산업을 통해 국권 회복) 이러한 독립운동은 이후에 3.1 운동(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1919년), 광복군 창설(1940년) 등 이어지며 대한민국의 독립 그리고 민주주의의 발전에 큰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주권 상실: 1910년 8월 22일 한일병합조약 및 한일방합조약(경술국치)

 

한일병합조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일병합조약(한국 한자: 韓日倂合條約) 또는 한국 병합에 관한 조약(일본어: 韓国併合に関する条約 간코쿠 헤이고니 간스루 조야쿠[*])은 1910년 8월 22일에 조

ko.wikipedia.org

 

대표적인 의병운동 참고

한국사-대표-의병운동
한국사 대표 의병운동

 

'을미의병', '을사의병', '정미의병', '제주의병' 아래 상세내용 참조

 

항일의병운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의병운동 년도 주축세력 을미의병 1895 유인석, 이소응 을사의병 1905 최익현, 민종식, 신돌석 정미의병 1907 이인영 제주의병 1909 고승천 항일의병운동(抗日義兵

ko.wikipedia.org

 

 

애국계몽운동의 주요 활동

-언론 활동: 대한매일신보, 황성신문 등을 통해 항일 의식 확산
-교육 운동: 국민의식 고취를 위해 학교 설립(오산학교, 대성학교 등)
-산업 진흥 운동: 국산품 애용 및 실업 교육 강조

 

 

을사오적 이름-인물 배경 동기

을사오적-사진
을사오적 사진, 출처: 나무위키

1. 이완용은 당시 친미파 관료로 고종의 아관파천 이후 친러파로 변신했고 러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자 다시 친일파로 변신하였습니다.
2. 이근택은 민 씨 일족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임오군란 이후에는 청나라의 세력을 업고 탐관오리로 악명을 떨쳤습니다.
3. 권중현은 갑신정변 이후 일본으로 망명한 개화파 인사들과 교류하며 일본의 힘을 빌려 출세하고자 했습니다.
4. 이지용은 왕실의 종친으로 뇌물을 받고 관직을 팔아넘기는 등 부정부패를 저질렀습니다.
5. 박제순은 황실 외척으로 조선 말기에 각종 요직을 거치며 권력을 누렸습니다.

 

위 인물들은 일제의 침략에 협조하여 을사늑약에 찬성해 국민들의 지탄을 받았습니다. 그들의 동기는 각자 조금씩 다릅니다. 대체로 자신의 지위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일본의 힘을 빌리고자 했던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을사오적 당시 평가/오늘날의 평가

당시 평가: 을사늑약 체결 당시부터 을사옥적의 인물들은 국민들의 많은 비판과 분노를 받았습니다. 국가와 민족을 배신한 인물로 간주되었습니다.
오늘날 평가: 현재에 와서까지도 을사오적은 여전히 많은 비판과 비난을 받고 있습니다. 이들은 일제의 침략에 협조하여 한국의 독립을 방해하고 고통을 준 인물로 평가됩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이들의 행동을 개인의 이익 추구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을사오적이 남긴 교훈

을사늑약과 그에 따른 일제의 식민 지배는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을사오적의 매국 행위는 대한민국의 항일운동과 민족주의 발전에 큰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나라의 이익과 안전을 위해 책임감 있게 행동해야 하며 부당한 압력에 굴복하지 않고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정신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기억하고 국권  수호를 위해 노력한 선조들의 희생을 기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의 우린 을사오적의 행적을 통해서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이해하고 이러한 바탕으로 현재와 미래를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