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건강

입동 역사적 배경-유래-뜻, 그 의미와 중요성, 입동의 전통적 관습과 즐기는 음식들은

by mwollossna 2024. 11. 7.
반응형

입동이란

입동(立冬)은 24 절기 중 19번째 절기로, 겨울이 시작되는 시기를 나타냅니다.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양력 11월 8일경에 해당하며, 매년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이는 태양의 위치와 관련이 있습니다. 즉, 태양이 황경 300도의 위치에 있을 때를 입동으로 정의합니다. 황경은 태양이 천구상에서 지나가는 길인 황도를 따라 측정한 각도를 말합니다.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입동을 겨울의 시작으로 여겨왔습니다. 이 시기에는 기온이 점차 낮아지고 건조해지기 시작하며, 겨울을 준비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집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김장이 있습니다. 
김장은 겨울 동안 먹을 김치를 담그는 것으로, 입동 전후에 가장 많이 이루어집니다. 이는 기온이 낮아져 김치가 맛있게 익기 때문입니다. 또 시래기를 엮어 달고, 무말랭이, 호박오가리, 곶감 말리기 등 대대적인 월동 준비에 들어갑니다.

현대에는 이러한 전통적인 풍습이 많이 사라졌지만, 여전히 일부 지역에서는 입동을 기념하고 겨울을 준비하는 다양한 행사가 열리기도 합니다.
반응형

입동의 역사적 배경과 유래

입동이라는 단어는 한자로 '설 립(立)'자와 '겨울 동(冬)'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직역하면 '겨울이 선다'라는 의미입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시기는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였습니다.
그 역사적 배경은 중국 주나라 시절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에는 계절을 구분하기 위해 24 절기를 사용했으며, 입동은 그중 하나였습니다. 주나라는 농업을 중시하는 국가였기 때문에, 계절의 변화에 민감했습니다. 그래서 각 계절마다 해야 할 일들을 정리하고, 이를 백성들에게 알려주었습니다.
여기서 입동은 겨울을 준비하는 시기로 여겨졌습니다. 이때부터는 날씨가 추워지기 시작하므로, 사람들은 겨울을 대비해야 했습니다. 농사를 마무리하고, 수확한 농작물을 저장하거나 가공하는 등의 작업을 했습니다. 또 소를 잡아 가죽을 손질하고, 메주를 쑤기도 했습니다.

이런 풍습은 조선시대에도 이어졌으며, 현대에도 일부 지역에서는 입동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리고 있습니다.

 

'입동' 의미 그리고 중요성

24절기 중 열아홉 번째 절기로, 이날부터 겨울이 시작된다고 하여 입동(立冬)이라고 합니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225도일 때이며, 양력으로는 11월 7일 또는 8일 무렵, 음력으로는 10월에 듭니다. 서리가 내린다는 상강(霜降) 후 약 15일, 첫눈이 내린다는 소설(小雪) 전 약 15일에 듭니다.

입동 즈음에는 동면하는 동물들은 땅속에 굴을 파고 숨으며, 산야에 나뭇잎은 떨어지고 풀들은 말라갑니다. 농가에서는 냉해(冷害)를 줄이기 위해 수확한 무를 땅에 묻어 움저장을 하며, 추수하면서 들판에 놓아둔 볏짚을 모아 겨우내 소의 먹이로 쓸 준비를 합니다. 예전에는 입동을 전후하여 5일 내외에 담근 김장이 맛이 좋다고 하여 지금도 시골에서는 이맘때쯤이면 김장을 담급니다. 

이렇듯 입동은 본격적인 월동 준비에 들어가는 시기로, 겨울을 날 채비를 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시점이었습니다.

입동에 관련된 전통적 관습

과거 한국에서는 입동 기간에 다양한 전통적 관습들을 따랐습니다.

○김장: 겨울 동안 먹을 김치를 담그는 일은 입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과거에는 입동 전후 5일 내외에 담근 김장이 맛이 좋다고 믿어져,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김장을 했습니다.

○고사: 농촌에서는 입동 무렵이면 가을걷이도 끝나 바쁜 일손을 털고 겨울을 맞을 준비를 합니다. 각 가정에서는 햇곡식으로 시루떡을 쪄서 토광, 터줏간지, 씨나락섬이나 외양간에도 고사 지낸 후, 농사에 애쓴 소에게도 가져다주며 이웃집과도 나누어 먹습니다.

○치계미: 일정 연령 이상의 노인들을 모시고 음식을 준비하여 대접하는 것을 치계미라 하였습니다. 마을 형편에 맞게 사또밥상이라 하여 극진히 대접해 드렸으며, 이를 통해 노인을 공경하는 마음을 표현했습니다.

이러한 관습들은 겨울을 대비하고,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며, 노인을 공경하는 가치를 강조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입동과 농사일정의 관계

24 절기 중 열아홉 번째 절기인 입동은 겨울이 시작되는 시기로,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추워지기 시작합니다. 농업사회였던 과거 한국에서 입동은 농사일정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습니다.
입동이 되면 가을걷이가 마무리되고, 겨울 작물을 파종하거나 옮겨 심는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서리가 내리기 전에 배추와 무를 수확하고, 마늘과 양파 등의 월동 작물을 심습니다. 또, 벼농사를 짓는 지역에서는 벼를 베고 말리는 작업이 진행됩니다.
과거 조상들은 입동 날씨를 보고 그 해 겨울의 날씨를 예측하기도 했습니다. 만약 입동에 바람이 심하게 불고 날씨가 추우면 그 해 겨울은 몹시 추울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이러한 믿음은 과학적인 근거는 없지만,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습니다.

현대에는 농업 방식이 많이 변화하여, 입동의 의미가 과거와는 조금 달라졌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일부 지역에서는 입동을 기준으로 농사일정을 계획하고, 겨울을 대비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입동에 즐기는 음식-의미

 

입동 무렵에는 신선한 채소를 구하기 어려워집니다. 그래서 선조들은 이 시기에 김장을 담가 겨울 동안 먹을 김치를 마련했습니다. 대표적인 김치로는 배추김치, 무김치, 파김치, 갓김치 등이 있습니다.
또 다른 풍습으로는 치계미(雉鷄米)라고 하여 노인들을 모시고 음식을 대접하는 행사를 열기도 했습니다. 마을의 노인들을 사또처럼 대접하며 배려했던 것인데, 여기서 '치'는 꿩, '계'는 닭, '미'는 쌀을 뜻합니다.

이러한 풍습은 겨울을 앞두고 노인들의 건강을 챙기고, 이웃 간의 정을 나누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현대에는 이러한 풍습이 많이 사라졌지만,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맛있는 음식을 먹으며 겨울을 맞이하는 것도 좋은 추억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